">


  • 우분투(Ubuntu)에 Mantis 설치하기


mantis를 설치하기 위해 우선 필요한 것이 php와 DB(MySQL, Oracle 등) 그리고 Apache가 필요하다. 


쉘에서 다음 명령어를 통해 php5를 설치한다. 

apt-get install php5-common php5 libapache2-mod-php5


DB는 MySQL을 사용하였다. MySQL 설치는 다음 명령어를 통해 설치한다. 

apt-get install mysql-server-5.6


Apache는 다음 명령어를 통해 설치한다. 

apt-get install apache2


이렇게 3가지를 설치한 이후 셋팅을 시작하면 된다. 먼저 php부터 설명하겠다. 

1. /etc/php5/apache2/php.ini 파일을 변경해야 한다. 주석이 되있는 부분을 지워서 사용해야 한다. Mantis는 MySqli를 사용하기 때문이다. 

2. DB를 설치하고 서비스를 시작한 다음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준다. 'mantis'라는 이름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했다. 사용하는 계정은 'root'이다. 


3. Apache 설정 전에 Mantis 설정을 해야한다. DB 설정에 관한 것만 하면 된다. mantis의 하위 폴더인 config 폴더 안에 config_inc.php를 수정한다. DB에서 만든 데이터베이스와 계정 및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그리고 Security 부분에 salt 값을 임의로 넣어준다. '16자' 이상 넣어주는 것이 보안에 유리하다. salt 값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Mantis를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지만 설정이 끝나면 붉은 색으로 표시되는 부분이 싫어서 기본적으로 해줘야 하는 모든 설정을 다 했다. 

4. Apache 설정은 홈 디렉토리를 /var/www로 변경했고, Mantis 폴더를 www안에 복사했다. 그리고 아파치 서비스를 실행한다. 


5. 아래 주소로 접속하여 설정을 진행한다. admin/install.php

이미 설치를 진행하고 찍은 스샷이라 진행하는 이미지와는 다를 수 있다. 

페이지에 접속 한 뒤 설정을 끝내고 나면 가장 아래 있는 install/Upgrad 버튼을 클릭 한다. 



6. 셋팅 된 것과 설정 된 것을 보여주는 화면이다. 여기서 기본적인 config를 사용한다면 붉은 색깔로 표시되면서 기본 config 사용을 하지 말것을 권고한다. 모든 셋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7. login_page.php 페이지로 접속한다. 초기 계정 정보는 administrator, root 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사용한다. 로그인 후 패스워드를 변경하면 아무런 경고 없이 정상적인 로그인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설치를 진행하다 에러가 나거나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아래 글 남겨 주세요. 

같이 고민하고 해결하도록 합시다^^

'시스템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톰캣 버전과 JVM 버전 확인하는 방법  (0) 2016.12.20

Fragment


  Fragment는 Activity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Layer라고 생각하시면 이해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여러개의 Fragment를 하나의 Activity에 조합하여 사용하여 창이 여러개인 UI를 만들 수 있고, 하나의 Fragment를 여러 Activity에서 재사용 할 수 있습니다. 

  Fragment는 자체 생명 주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Fragment는 항상 Activity내에 포함되어 있어야 하고, 생명주기는 Host Activity의 생명 주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원래 도화지가 없어졌는데 그 위에 Layer가 존재할 수 없겠죠? 예를 들어 Activity가 일시 정지 되는 경우 Activity안에 있는 모든 Fragment도 일시정지 되며 소멸 시에도 동일합니다. Fragment 트랜젝션을 수행할 때 Activity가 관리하는 백 스택에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Fragment를 사용하여 태블릿에서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스마트폰에서 분리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설명을 보여줍니다. 이하 더 자세한 설명은 개발자 페이지에서 확인해주세요. (https://developer.android.com/guide/components/fragments.html?hl=ko)

[출처: Google Developer]




구현


  Fragment는 일반적으로 Activity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부로 사용되며 자체 레이아웃으로 Activity에 표현 가능합니다. 

Fragment에서 레이아웃을 사용하려면 반드시 onCreateView() 콜백 메서드를 구현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메서드는 반드시 View를 반환해야 합니다. 


  다음 예는 Fragment의 서브 클래스로 example_fragment.xml 파일로부터 레이아웃을 읽어 옵니다. 

public static class ExampleFragment extends Fragment {
    @Override
    public View onCreateView(LayoutInflater inflater, ViewGroup container,
                             Bundle savedInstanceState) {
        // Inflate the layout for this fragment
        return inflater.inflate(R.layout.example_fragment, container, false);
    }
}

  onCreateView()로 전달된 container 매개변수가 상위 ViewGroup이며 이는 Activity의 레이아웃으로부터 온 것입니다. 이 안에 Fragment 레이아웃이 삽입 됩니다. savedInstanceState는 true, false로 값을 정할 수 있는데 false 일 때는 레이아웃에 중복된 ViewGroup을 생성하지 못하게 하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각 각의 Fragment 레이아웃 중복 없이 사용하고 싶다면 savedInstanceState를 false로 사용해야 합니다. 



Fragment 관리


  Activity내에서 Fragment를 사용하기 위해서 FragmentManager을 사용해야 합니다. Activity에서 getFragmentManager()를 호출하면 됩니다. 

  ● FragmentManager fragmentManager = getFragmentManager();


  FragementManager을 통해 할 수 있는 일중에 몇 가지를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Activity내에 존재하는 Fragment를 findFragmentById()로 가져오거나 findFragmentByTag()로 가져올 수 있습니다. 

  ● popBackStack()을 사용하여 Fragment를 백스택에서 꺼낼 수 있습니다. 

  ● 백스택 변경 내용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addOnBackStackChangedListener()로 리스너를 등록할 수 있습니다. 



Fragment 트랜젝션


  FragmentTransaction의 인스턴스를 FragmentManager로부터 가져오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FragmentManager fragmentManager = getFragmentManager(); 

  ● FragmentTransaction fragmentTransaction = fragmentManager.beginTransaction();


Transaction에서 add(), remove(), replace()와 같은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에 반드시 commit()를 호출해야 합니다. commit() 호출 전 해야할 것이 있는데 addToBackStack()입니다. fragment transaction은 activity가 관리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back 버튼을 이용하여 이전 fragment로 돌아갈 수 있습니다. 

// Create new fragment and transaction
Fragment newFragment = new ExampleFragment();
FragmentTransaction transaction = getFragmentManager().beginTransaction();

// Replace whatever is in the fragment_container view with this fragment,
// and add the transaction to the back stack
transaction.replace(R.id.fragment_container, newFragment);
transaction.addToBackStack(null);

// Commit the transaction
transaction.commit();


Activity와의 통신


  Fragment에서 activity의 인스턴스에 엑세스 하려면 getActivity()를 사용합니다.

  ● View listView = getActivity().findViewById(R.id.list);


  반대로 activity에서도 fragment 안의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습니다. 이 때 FragmentManager을 사용하여 Fragment에 대한 참조를 가져와야 합니다. 

  ● ExampleFragment fragment = (ExampleFragment) getFragmentManager().findFragmentById(R.id.example_fragment);



정리

  Fragment는 activity위에 레이아웃을 그릴 수 있는 ViewGroup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activity와 생애를 같이 합니다. Activity에서 Fragment를 다루려면 FragmentManager가 필요하고 getFragmentManager()을 통해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fragment를 추가, 제거 할 때 즉 transaction이 발생할 때 FragmentTransaction을 사용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실제 코드를 가지고 어떻게 fragment를 활용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언어 치료사들이 모여 카페를 개설하고 지금은 책도 여러권 만든 예꿈 교육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 다양한 책들이 나왔는데 치료사들과 부모님들에게 가이드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책이라 더 좋은 것 같아요. 사회성을 다룬 책이 없어서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쳐야 될지 고민을 많이한 결과물이라고 생각됩니다. 

저 위의 책 중 '사회성을 길러주는 우리 아이 언어치료' 라는 책은 삽화 + 야이기로 이뤄져있어서 그림을 아이에게 보여주면서 글을 읽어주면서 교육하기 좋은 것 같아요. 사회적 기술, 기본적인 예절, 사회적 상황에 대한 대처방법 등을 배울 수 있는 책입니다. 

책으로 배우는 것에 한계는 있겠지만 이런 사회성에 대해 미리 책으로 배울 수 있다면 아이에게도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요. 


'사회성 쑥쑥 화용언어 치료'는 어떻게 말할지에 초점을 두고 집필된 책이에요. 객관식으로 구성된 문제를 통해 각 상황에서 어떤 말을 해야할지 생각해 볼 수 있는 책이에요. 아이들에게 이 책을 가지고 교육할 때 '답 찾기'에 집중하기 보다 '답이 아닌 이유'에 대한 질문을 해보면 아이들이 어떤 부분에서 어려워 하는지 잘 알 수 있을거라 생각됩니다. 


이 외에도 여러 책이 있는데 현재까지 사회성에 관한 책이 대다수이고, 이런 책을 통해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에게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책으로 정리되어 가르칠 수 있어서 좋은 것 같아요.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시민의 글쓰기 특강  (0) 2019.03.12
사회성을 길러주는 우리아이 언어치료  (0) 2017.08.17
세계 미래 보고서 2055  (0) 2017.08.15

+ Recent posts